본문 바로가기
Life/독서 리뷰

[독서기록] 글쓰기 훈련의 방법들 - <하버드 글쓰기 강의> 바버라 베이그

by baykim 2020. 3. 9.

 

 

 

하버드 강의 글쓰기 훈련 정리

이 책은 글 쓰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놓은 책이다.

내가 이 책을 대학교 3학년 때 읽었던 걸로 기억된다.

다양한 방면의 글쓰기의 훈련법을 체계적으로 적어놨다.

이 책은 실천 위주의 방법을 알려준다.

크게 내용적 훈련, 읽기 훈련, 자신을 들여보기, 내용 전문지식, 이야기로

글쓰기의 기초체력훈련과 전문적인 글쓰기, 소설 글쓰기로 나눠져 있다.

다음은 당시 내가 읽고 훈련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한 글의 일부이다.


내용적 훈련

1. 내용에 관한 생각 일깨우기

프리라이팅을 하면서 언어에 관한 생각은 하지 않고 그냥 속에서 생각나는 구절이나 내용, 이야기를 아무런 판단없이 계속 적는 것이다.

2. 글감 모으기

a. 내부적 모으기

프리라이팅한 내용중 맘에드는 구절이나 단어등을 표시에 수집한다. 훗날 어디에 쓰일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b. 외부적 모으기

자료조사 등을 통해서 정리한다.

3. 읽기 훈련

내용에관한 생각과 더불어 읽기훈련

책을 읽을 때 내용을 생각해보고 마음에 떠오르는 것을 적어볼 것. 어떤 재료를 사용했는지, 왜 이 재료가 맘에 드는지, 이 재료를 어디서 가져왔을 것 같은지, 왜 작가가 이런 특정한 재료를 사용했을 것 같은지

재료 개발을 위한 도구

*수집한 자료에 대한 관계설정

a. 선택: 재료들을 한 곳에 모으고 취합 해보기

b. 질문: 이 재료들을 통해 더 생각나는 것 적기

c. 초점찾기: 범위를 좁히거나 더 넓혀서 많은 재료 찾기. 실제로 내가 쓰고자 하는 글의 틀을 찾는 것이다.

d. 그림그리기: 수집한 재료에 상상려을 더해본다.

e. 장르에 관한 고려: 이 글의 성격을 고려해 글을 전개할 성격을 고려하다.

f. 학습: 이 재료들로 난 뭘 하길 바라는가? 나 무엇을 해야할까? 를 질문해본다.

g. 재료의 체계화

h. 재료의 연결 : 모으기, 분류하기, 연결하기

i. 제로 드래프트 시도: 수정되었단 전제하에 초안을 작성해보기

의무적 글쓰기의 7단계

1. 자신의 과제를 파악해라

과제의 성격을 알아야한다. 그리고 자신이 전달하려는바 명확기하기위해 주제를 파악해야한다. 주제는 논스톱 쓰기로 아이디어를 적은 후 흥미가 가는 것으로 설정한다.

2. 과제 계획짜기

쓰려는 내용의 목록을 보고 분량을 배분한다.

3. 내용 발전

내부모으기, 초점화된 프리라이팅, 마인드맵, 목록작성, 상호작용, 외부모으기, 재료의소화[외부 자료를 두가지 파트로 쪼개 프리라이팅 실시 (자료의 요약과 생각, 작가에대한 내 지적반응)#이연습은 따로따로하는게 효과적!!!]

4.필요하다면 초안작성

5.청중,목표 고려

6.전달하기

7.분명하게 밝히기


실천하지 않으면 모든 훈련법은 의미가 없다.

그래서 내 글쓰기가 응가였나보다.

오랜만에 글을 정리하면서 다시 훈련법을 머릿속에

되새기면서 글을 많이 쓰려고 노력해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