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꿀팁정보2 감기약 먹을 때 주의사항 <항히스타민 효능과 부작용> 안녕하세요 환절기가 다가온 지금 일교차가 심한탓에 감기에 많이 걸리실텐데요. 주로 먹는 감기약이 어떤 약인지 알아보고자 글을 써봅니다! 우리가 주로 먹는 감기약에 많이 쓰이는 항히스타민의 효능과 부작용을 알아보면서 감기약 먹을 때 주의해야할 사항들을 다시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레르기 증상 완화 효과가 있는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완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주로 발진이나 두드러기, 발적, 소양감 등의 피부반응부터 기침, 콧물, 가래, 불면, 어지러움증 등까지 넓은 범위에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성분 소개 항히스타민제에 사용되는 성분은 다양하며, 히스타민이라고 하는 수용체에 작용하여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이러한 억제 작용을 통해 소.. 2023. 9. 30. 만 나이 시행 후 바뀌는 것과 바뀌지 않는 게 있다? '만 나이 통일법' 예외사항 나이를 국제적인 기준에 맞게 시행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만 나이 통일법'이 6월 28일에 시행되었습니다. 새로운 법이 시행되면서 또 여러 상황에서 써야될지 혼란스러운데요. 만 나이 시행 후 바뀌는 것과 바뀌지 않는 게 있다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구별하자면 개별적으로 나이를 세는 기준이 정해져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나이를 셀 때 ' 만 나이 ' 를 사용하는게 원칙이 되었습니다! 그럼 개별적으로 나이를 세는 기준이 있는 경우는 어떤 경우가 있을까요? 거꾸로 만 나이를 세지 않는 경우를 먼저 확인해볼까요? 1. 만 나이를 사용하지 않는 예외의 경우 일단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취업, 학업, 단체생활" 등을 고려할 때, 국민 편의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만 나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취.. 2023. 7. 2. 이전 1 다음